본문 바로가기
YOLO/INFORMATION

[아이원더124] 프랑스의 육아·돌봄 정책, 왜 주목해야 할까?

by 머리큰타이거 2025. 7. 29.
728x90
반응형

✅ 왜 프랑스를 선택했을까?

  • 출산율 반등 경험: 1990년대 이후 출산율이 반등, 유럽 내 상위권 유지
  • 정부의 적극적 개입: 출산 → 육아 → 복직까지 전방위 지원
  • 공공 vs 민간 역할 분담이 명확


🍼 프랑스의 주요 육아·돌봄 정책

1. 보육 서비스 다양화 및 국가 보조

항목내용
공립 보육시설(Crèche) 국가가 직접 운영하며 저소득층 우선 배정
가정 보육지원(Assistance Maternelle) 자택 보육인에게 양육 위탁 시 국가 보조금 지급
보육 바우처(PAJEMPLOI 등) 보육인 고용 시 세금 감면 및 월별 지원금 제공
 

💡 포인트: 다양한 돌봄 방식을 인정하고, 부모가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


2. 육아휴직 제도

구분내용
출산휴가 여성 16주(최대 26주), 남성 25일
육아휴직(Parental Leave) 부모 중 한 명이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 가능
육아휴직 수당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장기 육아휴직자에게도 최소 금액 보장
 

💡 포인트: 아빠도 육아참여 유도하는 강력한 구조


 

3. 복직 후 워라밸을 위한 유연한 근무

  • 육아기 단축근무제 도입
  • 원격근무 및 시차출근 권장
  • 기업의 가족친화인증제 (label famille)

✨ 우리가 배울 점

  • 부모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유연한 돌봄 체계
  • 남성과 기업의 육아 참여 유도
  • 보편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갖춘 지원 방식

💬 마무리

프랑스는 출산을 장려하기보다 **“아이를 낳고 기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국가의 역할은 아이를 대신 키우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자신의 방식으로 아이를 키울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우리도 지금, 돌봄 정책의 본질을 다시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 해당 게시물은 아이원더 124의 활동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