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YOLO/INFORMATION

[법제처] 만 나이 계산법은?

by 머리큰타이거 2023. 6. 28.
728x90
반응형

 

하반기 대한민국 이렇게 달라집니다.


한국식 나이 계산법 대신 만 나이 제도가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정부에서는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일상생활에서 세는 나이보다 만 나이를 사용한다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책을 추진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실생활에서는 기존처럼 출생연도 기준 새해맞이 및 생일 축하 인사를 주고받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관습대로 현재 연도 - 태어난 연도 방식으로 나이를 세고 있을까? 그리고 실제로 자신의 나이를 말할 때 어떻게 말하는 게 맞을까?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된 2023년 2월 28일부터 한국에서의 나이 계산법이 단일화되어 법적 다툼과 민원 해소가 예상되고 있다.

이전에 우리나라에서는 세는 나이, 연 나이, 만 나이 등 세 가지 나이 계산법을 사용했다. 이제부터 만 나이를 기본으로 나이를 계산할 것이며, 별도의 언급이 없을 경우 만 나이 셈법이 기본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하지만, 만 나이 통일에 따른 큰 변화는 많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으며, 주민등록증, 정치권, 노령연금, 우대, 취학 연령 등 기존에도 만 나이가 기준이었다. 그러나 술·담배 구매, 입대 연령, 공무원 시험 응시 자격 등 일부 제도는 현재 연 나이 셈법을 계속 적용한다.

이 법에 따른 효과는 나이 기준 혼용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절감으로만 나이가 기대되며 개인의 실제 시간을 정확하게 반영한다. 앞으로 일상생활에서의 만 나이 사용으로 나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왜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게 된 건가요?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게된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세 가지 나이 계산법을 혼용하면서 법적인 혼란과 민원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법률에서는 연 나이 계산법을 쓰고, 어떤 법률에서는 만 나이 계산법을 써서 같은 사람의 나이를 계산하더라도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에 따라 만 나이를 기본으로 나이를 계산하도록 하는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게 된 것입니다. 이를 통해 법적 혼란과 민원을 줄이고 투명하고 간편한 나이 측정체계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사람들이 나이를 표현하거나 정보를 주고 받을 때도 편리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 나이 통일로 인해 일부 제도에서 여전히 연 나이 셈법을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어도 일부 제도에서 여전히 연 나이 셈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해당 제도가 만 나이 셈법으로 전환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술·담배 구매나 병역 의무 등은 해당 연령을 선행 조건으로 하는 법률에 따라 여전히 연 나이 셈법을 따르게 됩니다. 

또한, 일부 제도에서 연 나이 셈법을 유지하는 것도 그 제도의 특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무원 시험 응시 자격은 경력과 직무에 대한 요건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연 나이 셈법을 유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만 나이 통일법이 시행되더라도 일부 제도에서는 여전히 연 나이 셈법을 적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만 나이 계산법을 알고 있으면 편리합니다. 결국, 만 나이 통일법은 대부분의 경우에 나이 계산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만들어 주며 법적 다툼과 민원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만 나이와 연 나이의 차이가 얼마나 나나요?

 

만 나이와 연 나이의 차이는 해당 기준일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만 나이는 생일을 맞이하면 그 해의 1월 1일을 기준으로 만 나이가 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10월 30일에 태어난 아이는 2023년 1월 1일을 맞이하면 만 1살이 됩니다. 

반면에 연 나이는 출생 연도에서 해당 기준 연도를 빼주면 나오는 나이입니다. 예를 들어, 2022년 10월 30일에 태어난 아이는 2023년 1월 1일을 맞이하면 (2023 - 2022) = 1세가 됩니다.

따라서, 만 나이와 연 나이의 차이는 해당 기준일에 따라 다르게 나오게 됩니다. 이를 고려하여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나이 계산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몇 가지 예시를 들어볼까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2000년 4월 1일에 태어난 사람이
    • 2021년 10월 1일 기준 만 나이는 22살, 연 나이는 21살입니다.
    • 2022년 4월 1일 기준 만 나이는 22살, 연 나이는 22살입니다.
    • 2022년 12월 31일 기준 만 나이는 22살, 연 나이는 22살입니다.
  • 1995년 11월 15일에 태어난 사람이
    • 2021년 10월 1일 기준 만 나이는 26살, 연 나이는 25살입니다.
    • 2022년 11월 15일 기준 만 나이는 27살, 연 나이는 26살입니다.
    • 2023년 1월 1일 기준 만 나이는 27살, 연 나이는 27살입니다.

이처럼, 만 나이와 연 나이의 차이는 해당 기준일에 따라 다른 차이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나이 계산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태어난 아기는 만 몇 살이에요?

만약, 오늘이 2022년 10월 1일이라고 가정하면 오늘 태어난 아기는 만 0살입니다.

즉, 2022년 1월 1일에 태어난 경우이므로 이 날짜를 만 나이 기준일로 놓으면 만 0살이 됩니다.

 

만 나이와 연 나이 계산에서 언제 예외적인 경우가 있나요?

만 나이와 연 나이의 계산에서는 대부분의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예외적인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윤년에 태어난 경우가 그렇습니다. 윤년은 보통 4년마다 하나씩 발생하는데, 2월 29일이 있는 해입니다. 만약 윤년의 2월 29일에 태어났다면, 그 해는 365일이 아니라 366일이 되므로 만 나이와 연 나이의 계산에서 그 해를 기준으로 어떻게 계산할지가 논의의 여지가 있습니다.

또한,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나이 계산 방법이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국가나 지역의 법령, 관습 등을 따라 적절한 나이 계산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만 나이와 연 나이의 계산에서 예외적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계산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인들에게 맞는 혜택을 인지하여 활용해 보아요. ^^ 

 

반응형

댓글